![]()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 일원에 건립 중인 벌교문화복합센터 조감도. 보성군 제공 |
29일 보성군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총 332억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해 정주 여건 개선, 문화 기반 조성, 관광 콘텐츠 개발, 산업단지 조성 등 청년 유입 및 생활인구 확보를 위한 전략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일부터 22일까지 15일간은 보성읍 봉산리와 회천면 율포리, 제암산자연휴양림 일원 등 지방소멸대응기금 주요 사업지를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이번 현장점검에서는 단순한 공정률 확인을 넘어 각 사업이 청년 정착, 관광 활성화, 문화 기반 조성 등 분야별 전략과 어떻게 맞물려 시너지를 내고 있는지 분석하고, 지역 맞춤형 전략이 현장에서 어떤 파급효과를 주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먼저 보성군은 청년과 관광객 모두가 ‘머무는 지역’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회천면 율포해변 일원의 ‘보성 프롬나드 조성사업’은 지역 해안선을 따라 문화공간과 청년 창업 거리를 조성해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사업이며 오는 9월 정식 개통을 앞둔 전남 남해선(목포~보성) KTX-이음으로 보성과 수도권 및 남해안 주요 도시 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보성읍 봉산리와 회천면 영천리 일원에서 추진 중인 ‘지역특화 관광 기반 조성사업’을 통해서는 야간경관과 캠핑장을 중심으로 계절·시간대와 관계없는 체험형 관광지로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제암산자연휴양림 내 ‘녹차마을 워케이션 조성사업’도 이달 준공을 마치고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청년이 지역에 정착하기 위한 핵심 요건인 돌봄 정책도 탄탄히 설계됐다. 벌교읍 회정리에 추진 중인 ‘청년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돌봄 환경 조성 사업’은 벌교복합문화센터 내에 공공형 돌봄 공간을 마련하고 북카페, 조리실습실, 체육시설 등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과 연계한 가족 친화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공간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청년 정착의 질적 수준을 결정짓는 문화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문화꿈나래 공유거점 조성사업’을 통해 기존 판소리성지의 전수교육관을 리모델링하고, 이를 청년과 주민이 함께 활용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군은 청년 유입을 넘어, 지속 가능한 고용 생태계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제2 조성농공단지 조성사업’은 제조업 기반 창업기업 유치와 중장기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핵심 사업으로 향후 입주 기업 유치를 위한 행정 지원을 병행, 지역 경제 자립 기반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지방 소멸 대응 전략사업은 단기적인 성과가 아닌 지속 가능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중장기 전략과 연계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며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연결되도록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보성=양종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