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종자관리소가 자체 개발한 ‘이동식 그늘막 쉼터’. 전남도 제공 |
이동식 그늘막 쉼터는 종자관리소의 현장 대응 조치로, 폭염에 노출된 농작업 근로자들을 신속히 보호하기 위해 고안됐다. 종자관리소는 매년 약 100㏊(30만 평) 규모의 농지에서 벼, 콩, 맥류 등의 국가 식량종자를 생산해왔으나, 대부분의 작업이 그늘이 없는 들판에서 이뤄져 근로자 건강에 위협이 컸다.
기존에는 고정식 그늘막을 들판 중간에 설치해 운영했으나, 작업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는 농작업의 특성상 효과적인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김현진 주무관이 트랙터용 트레일러를 활용한 ‘이동식 쉼터’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직접 제작에 나섰다.
이동식 쉼터는 트랙터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비포장 농로에서도 운용 가능해 다양한 영농 현장에서 ‘영농형 휴게시설’로서 활용도가 높다. 쉼터에는 넓은 그늘막과 간이 의자, 수분 보충용 음료 등이 탑재돼 작업 장소까지 직접 이동하며 실질적인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일반 파라솔 대비 약 10배 넓은 그늘 면적을 제공해 다수의 근로자가 동시에 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보유 중인 자재를 재활용해 약 15만 원의 비용으로 제작함으로써 외부 제작 시 예상 비용 대비 85% 이상 절감했다. 이는 저비용·고효율의 적극 행정과 예산 절감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현장 근로자들 또한 “무더운 날씨에 멀리 걸어가지 않아도 돼 피로가 줄고 온열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이 아이디어는 타 시·도로도 확산돼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휴게시설이나 음용수 등 인프라가 부족한 들판이나 간척지 지역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높게 평가된다.
김재천 전남도 종자관리소장은 “폭염에 따른 현장 근무자의 안전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현장 주무관의 참신한 아이디어는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대책이었다”며 “앞으로도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안전하고 쾌적한 농작업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